컴퓨터부터 기계, 건축까지 폭넓은 기술을 습득하는 공학계통
컴퓨터부터 기계, 건축까지 폭넓은 기술을 습득하는 공학계통
01. 계통특징
[기계계]과학기술의 진보에 대응가능한 유능한 기계 기술자를 육성한다. 산업로봇이랑 NC(수치제어) 공작기계 등이 많은 생산공장에 도입되고 있으며 기계계의 학과에서도 컴퓨터 제어, 로복공학 등 전기·전자·정보공학계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전기·정보계]시대의 첨단기술에 접촉할 수 있는 것이 계통이다. 사회적 요구가 높은 정보처리 관련 과목을 설치한 단기대학도 있다.
[토목·건축계·기타계]토목·건축 기술자를 양성하는 학과는 니혼대단기대학부 건설학과, 센슈대홋카이도단기대학 미도리노 종합과학과이다. 그 밖의 분야에서는 기초공학과, 자동차공학과(자동차경영코스), 응용화학과가 있으며, 설치단기대학은 각 1대학뿐이다.
[전기·전기·정보계]시대의 첨단기술에 접촉할 수 있는 것이 계통이다. 사회적 요구가 높은 정보처리 관련 과목을 설치한 단기대학도 있다.
[토목·건축계·기타계]토목·건축 기술자를 양성하는 학과는 니혼대단기대학부 건설학과, 센슈대홋카이도단기대학 미도리노 종합과학과이다. 그 밖의 분야에서는 기초공학과, 자동차공학과(자동차경영코스), 응용화학과가 있으며, 설치단기대학은 각 1대학뿐이다.
02. 무엇을 배우나?
[기계계]기계공학은「보다 좋은 기계를 설rP·제작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기계 설계와 제작 등에 종사하는데 필요한 과목을 습득한다.
[전기·전자·정보계]전기·전자관련에서는 전기나 전자의 특성과 그 활용을 위한 지식을 습득한다. 통신공학관련에서는 정보를 전기·광신호로 바꾸어서 전송하는 기술에 대해서 배운다. 정보처리관련에서는 시스템으로서의 운용 수단, 어프리케이션 기술 등을 배운다. [토목·건축계·그외]토목·건축관계에서는 시민생활에 필요한 각종 구조물(예를 들면 도로,철도, 상하수도 등)을 설계·시공하고 유지·관리하는 이론과 기술을 배운다. 그 밖의 계통으로는 응용화학과가 있으며 바이오테크놀로지나 의약품개발, 신소재개발과 화학프로세스 관리에 필요한 지식을 코스로 나뉘어 배우는 내용은 여러 갈래이다.
[전기·전자·정보계]전기·전자관련에서는 전기나 전자의 특성과 그 활용을 위한 지식을 습득한다. 통신공학관련에서는 정보를 전기·광신호로 바꾸어서 전송하는 기술에 대해서 배운다. 정보처리관련에서는 시스템으로서의 운용 수단, 어프리케이션 기술 등을 배운다. [토목·건축계·그외]토목·건축관계에서는 시민생활에 필요한 각종 구조물(예를 들면 도로,철도, 상하수도 등)을 설계·시공하고 유지·관리하는 이론과 기술을 배운다. 그 밖의 계통으로는 응용화학과가 있으며 바이오테크놀로지나 의약품개발, 신소재개발과 화학프로세스 관리에 필요한 지식을 코스로 나뉘어 배우는 내용은 여러 갈래이다.
03. 적성에 맞을까?
어느 분야든지 이수계 과목이 전문과목의 기본이 되기때문에 고등학교에서 기본사항을 잘 이해해 두어야한다. 어떤 분야든지 수업에서 컴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터에 흥미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04. 졸업 후 진로
기계계통는 제조업 취직이 중심이지만 전기·가스 등의 서비스관계나 정보서비스 등으로의 취직도 있으며, 진로는 다방면에 걸친다. 전기·전자·정보계 졸업생은 주로 기술자로서 활약한다. 토목·건축계의 학과에서는 토목·건축 관련의 행정기관에서의 사업계획부분, 건설시공회사, 설계회사 등으로 취직하고 있다. 다른 계통에서는 응용화학과에서 화학공업회사에 취직하는 등 각학과의 특색에 맞는 분야로 취직하고 있다.
05. 취득자격
기계계에서는 중고자동차사정사, 가스용접기능자(수료증), 2급자동차정비사수험자격, 위험물취급자(을종4류), 소방정비사(갑종) 수험자격 등이 있다. 전기·전자·정보계에서는 2급무선통신사 시험의 일부면제, 제2·3종전기주임기술자 등이다. 토목·건축계의 학과에서는 측량사보자격(실무경험으로 측량사자격 취득가능)과, 실무경험을 거쳐 1급 혹은 2급 건축사 수험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06. 어떤 대학에 설치되어 있나?
나카니혼자동차단기대학(국제자동차공학과), 산업기술단기대학(기계공학과), 홋카이도자동차단기대학(자동차공업과), 니이가타공업단기대학(자동차공업과), 히로시마국제학원대학자동차단기대학부(자동차공업과), 아이치공과대학자동차단기대학(자동차공업학과), 나카니혼자동차단기대학(자동차공학과), 토쿠시마공업단기대학(자동차공업학과), 다카야마자동차단기대학(자동차공학과), 오사카산업대학단기대학부(자동차공학과), 나카니혼자동차단기대학(모터스포츠엔지니어링학과), 산업기술단기대학(전기전자공학과), 토카이대학후쿠오카단기대학(정보처리학과), 산업기술단기대학(시스템디자인공학과), 국제단기대학(정보네트워크학과), 후쿠오카공업대학단기대학부(비즈니스정보학과), 쇼호쿠단기대학(정보미디어학과), 야마구치단기대학(정보미디어학과), 후쿠오카공업대학단기대학부(정보미디어학과), 다카야마자동차단기대학(자동차공학·자동차전자), 니혼대학단기대학부(건설학과), 니혼대학단기대학부(기초공학과), 다카야마자동차단기대학(자동차경영), 니혼대학단기대학부(응용화학과), 센슈대학홋카이도단기대학(미도리노종합과학과 환경토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