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환경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날짜 : 2010-02-27 16:34:48 글쓴이 : 도꼬모 조회수: 862

「환경」은 주거환경이나 도시환경 등의 주변 것부터 지구환경까지도 포함하는 매우 큰 카테고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은 넓은 의미에서의 환경과 인간이 공존하려면어떻게 하면 좋을까를 배우는 학문이 「환경학」이다. 자연환경을 연구하는 분야와 사회환경을 다루는 분야가 있지만, 어떠한 경우일지라도 학제적, 종합적인 어프로치가 필요하다.

1.어떤 학문인가

「환경학」을 배우는 목적은 인간과 환경의 공생, 그리고 인간에게 있어서 쾌적한 환경의 존재를 추구하는 것에 있다. 「환경」은 매우 큰 카테고리로 크게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으로 나뉘어진다. 자연환경 분야에서는 「지구온난화」와 같은 지구규모의 테마부터 「쓰레기」나 「재활용」처럼 일상적인 문제까지 폭넓은 연구영역을 들 수 있다. 사회환경 분야에서는 「정치학」「경제학」「자연과학」「사회학」「역사학」등 다양한 학문분야부터 어프로치해 나간다. 다만,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이 전혀 다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연환경에 대해서 사회과학적인 접근을 하는 경우나 사회문제에 자연환경 문제가 엮여갈 수도 있다.

여기서는 특히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지구온난화나 토양오염, 수질오염처럼 지구환경 문제를 축으로 소개하겠다. 환경학에서는 이러한 환경문제를 발견하여 원인이나 배경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복합적으로 생각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분야로 나뉘어져 연구를 진행한다.

환경문제의 발견·분석에 관한 분야

환경문제의 발견·분석에는 각 분야의 고도의 전문지식이 필요하다. 수질오염이나 대기오염에서는 「화학」, 지구온난화라면 「기상학」, 생태계와 관련된 문제라면 「생태학」과 같은 이과계의 학문이 중심이 된다. 「환경화학」「생물학」「지구과학」「환경식물학」등의 지식도 필요하다. 물론 문제의 발견·분석에 종사하는 전문가는 문제의 개선이나 해결책에도 심도있게 연관지어 간다.

환경문제의 개선·해결에 관한 분야(문과계적인 측면)

환경을 지키기 위해서는 사회의룰, 틀이라는 시점이 필요하다. 특히 지구온난화처럼 국경을 초월한 세계공통의 문제에 관해서는 국제법이나 국제정치도 관계하고 있다. 또한 기업이나 개인에 의한 환경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경세 등 정치나 재정적인 면에서도 생각해 갈 필요가 있다. 사회의 틀에서 환경문제를 접하고 해결법을 생각하는 「환경사회학」, 환경보호를 목적으로 교육을 하는 「환경교육학」 등도 이 분야에서 요구되는 지식이다.

환경문제의 개선·해결에 관한 분야(이공학적인 측면)

인간의 생활이 지구환경에 미치는 부담의 경감을 지향하는 기술을 「환경테크놀러지」라고 한다. 오염물질의 배출이 적은 태양광 발전이나 하이브리드·카 등의 동력이 되는 클린·에너지 발견, 자원을 재사용하는 리사이클 기술의 개발 등이 이에 해당한다. 비용 등의 면에서 실용성이 요구되므로 경제나 정치 등에 대해서도 폭넓은 지식이 필요하다. 이러한 것 외에도 배기가스에 의한 환경오염이나 「다이옥신」의 문제 등을 연구하는 분야, 동물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분야, 에너지 문제를 생각하는 분야 등이 있다.

2.환경학과 적성이 맞을까

환경을 개선하고 싶다는 목적의식이 있는 사람이다. 연구분야나 방법론이 아니라 「환경을 개선한다」라는 목적에 의해 정의되는 학문이므로 이 목적만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가능하며 어떤 적성을 가진 사람일라도 공헌할 수 있다. 어쩌면 자신이 살아있는 동안은 아니지만 「인류전체의 장래를 위해」 노력하는 강한 사명김이 필요하므로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3.환경과 관련된 연구를 하고 싶다면 「환경」이름이 붙은 학부학과로 가는 것이 좋을까

「환경」의 본래의 의미는 「주위를 둘러싼 것」이다. 「지구환경」이나 「도시환경」만이 아니라, 「직장환경」이나 「사회환경」 등 거의 모든 장소를 말하는 말이다. 따라서 학부명이나 학과명에 「환경」이 포함되어 있어도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환경을 말하는 것인지는 다르다. 진로를 결정할 때 어떤 환경을 대상으로 하고, 어떤 연구를 하고 싶은지를 먼저 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구환경이나 도시환경에 관한 일을 할 경우에는 고도의 전무성이 요구된다. 먼저 대학 홈페이지나 팜플렛을 조사해볼 것을 권한다.

4.최근의 연구테마

지구온난화를 예로 하여 「환경학」의 각분야가 실제로는 어떤 형태로 해결과 관계있는지를 간단히 소개하자.

지구온난화 문제의 발견·분석

19세기 전반부터 20세기 중반에 걸쳐서 많은 물리학자나 기상학자에 의해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지구기온이 관계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지적되었다. 현재는 국제적인 과학자 그룹 등이 지구온난화의 분석을 전문적으로 하고 있다.

지구온난화 개선에 대한 법적·경제적·정치적인 연구

1997년 온실효과 가스배출량을 국제적으로 규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토의정서」가 조인되었다. 각국의 경제상황 등을 고려하여 온실효과 가스배출량의 구체적인 삭감목표를 정하였다. 교토의정서에도 포함되는 「배출량거래」는 이론상, 가장 적은 비용으로 전체의 삭감목표 달성을 가능케 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지구온난화개선에 대한 과학기술적인 연구

인간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석유나 석탄 등의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한 것이다. 이것을 삭감하기 위해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에너지의 개발과 이용이 진척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카」는 전력을 이용하여 휘발유 소비를 삭감한다. 에탄올 등의 「바이오연료」는 휘발유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은 연료이다. 또한 대량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화력발전을 대체하는 것으로 「태양에너지」와 「풍력발전」등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테크놀러지」의 많은 것에 대해서 비용삭감 등 각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5.졸업후 진로

환경과 관련된 일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우선 앞에서 말한 3개의 분야 중, 일하고 싶은 분야를 경정할 필요가 있다. 이과계의 경우는 전공과 연구테마에 의해 목표로 하는 방향이 대체로 결정된다. 대학원으로의 진학률도 높고, 취직처로서는 정부기관이나 제조업이 있다. 문과계의 경우에는 환경과 관련된 규제를 설정하는 일과 규제 아래에서 효율성 있게 기업운영을 하는 일로 나뉘어진다. 전자로서는 주로 환경청 등의 정부기관이나 각지방자치단체의 직원으로, 후자는 제조업이나 건축업, 식품관계 등을 비롯하여 일반기업이 있다. 교사나 학예원이 되어 환경문제에 관한 지도를 하는 사람도 있다.

⊙ 홈페이지 : http://www.docomouhak.com/community/reserv.html, hit:231




2/2, 총 게시물 : 37
번호 제 목 글쓴이 조회 날짜
17 이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409 2010-02-27
16 인간과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074 2010-02-27
15 정보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1132 2010-02-27
14 정치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901 2010-02-27
13 지리학를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791 2010-02-27
12 철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860 2010-02-27
current 환경학을 알면 일본대학이 보인다 도꼬모 863 2010-02-27
10 건축·인테리어 업계를 목표로 하는 수험생을 위한 진로와 진학 도꼬모 1026 2009-08-25
9 요리분야로 진로를 선택한 수험생을 위한 진로와 진학 도꼬모 937 2009-08-25
8 게임, 애니메, 만화분야로 진로를 선택한 수험생을 위한 진로와 진학 도꼬모 1573 2009-08-24
7 패션이나 미용으로 진로를 선택하려는 수험생을 위한 진로와 진학 도꼬모 1039 2009-08-22
6 IT업계로 진로를 선택하려는 수험생을 위한 진로와 진학 도꼬모 1188 2009-08-20
5 증권사, 은행 등의 금융업으로 진로를 선택하려는 수험생을 위한 진로와 진학 도꼬모 2520 2009-08-19
4 관광·항공업계로 진로를 선택하려는 수험생을 위한 진로와 진학 도꼬모 2293 2009-07-24
3 복지분야로 진로를 선택하려는 수험생을 위한 진로와 진학 도꼬모 1472 2009-07-24
2 法 분야로 진로를 선택하려는 수험생을 위한 진로와 진학 도꼬모 1186 2009-07-24
1 매스컴분야 진로를 선택하려는 수험생을 위한 진로와 진학 도꼬모 1725 2009-07-24

맨처음 | 1 | 2 |

이름 제목 내용 and조건으로